1. 한국 의료는 세계적 자랑거리
1-1. 한국 의료는 싸다
1-2. 한국 의료는 잘 고친다
1-3. 국가적 보물인 의료를 소중히 다루어야
2. 싸고 잘 고치는 이유 - 의사당 환자 수 많음
2-1. 한국 의료는 박리다매
2-2. 가난한 인도인의 시력을 찾아준 아라빈드 안과 병원
3. 인구당 의사 수 증가는 국민에게 나쁘다
3-1. ‘인구당 의사수’는 잘못된 목표
3-2. 의사수 늘이면 값은 오르고, 치료율은 떨어질 것
3-3. (참고) 공급이 는다고 가격이 꼭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4. '의사 부족'은 잘못된 진단
4-1. 한국 의료의 접근성은 세계 최고
4-2. 지리적인 접근성도 세계 최고
4-3. 미래에도 의사 수는 부족하지 않을 것
5. 문제는 필수 의료 기피
소개
의사가 의료 소비자와 가까운 곳에 있는 거리적 접근성은 중요하다. 한국은 이 점에서 매우 좋다.
국토에 의사와 국민을 골고루 분포시킨다고 가정하면, OECD 주요 선진국의 국민과 의사간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
캐나다 9.83km
미국 3.39km
프랑스 1.77km
영국 1.09km
일본 1.09km
독일 1.01km
한국 0.88km
위 다른 나라들은 인구당 의사수는 한국보다 많은 나라들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는 그 나라들보다 의사가 더 가까이에 있다. 국토 면적당 의사의 밀도가 높은 결과다.
다른 나라와 비교할 때 한국은 도시와 농어촌 의사 수의 차이도 제일 적은 나라에 속한다. OECD Health at a glance 2023에 따르면, 도시 대비 농촌 의사 비율이 한국은 81%, OECD 평균은 71%였다.
OECD의 “Health at a Glance 2019” 자료에 의하면, 한국은 인구 1천명당 의사수가 도시는 2.4명, 시골은 1.9명으로 0.6명 차이였다. 이것은 일본의 0.1명에 이어 두번째로 적은 차이였다. (출처: https://www.rihp.re.kr/bbs/board.php?bo_table=report&wr_id=164)